본문 바로가기
정보

2025년 소득세 완벽 가이드 - 세율표부터 공제까지

by evad 2025. 6. 22.

2025년에 소득세, 얼마나 내고 얼마나 깎을 수 있을까?

 

누진세 구조로 계산되는 2025년 종합소득세율은?

2024년 귀속분에 적용되는 2025년 종합소득세율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[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]

 

1,400만 원 이하 6%
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15% 126만 원
5,0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24% 576만 원
8,800만 원 초과 ~ 1.5억 원 이하 35% 1,544만 원
1.5억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38% 1,994만 원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40% 2,594만 원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42% 3,594만 원
10억 원 초과 45% 6,594만 원
 

과세표준 2,000만 원의 경우 - 84만 원 + (2,000만 - 1,400만) × 15% = 174만 원으로 산출됩니다 

과세표준은 어떻게 정해지나?

과세표준 = 종합소득금액 – 필요경비 및 소득공제입니다 .

 

여기서 종합소득금액은 근로·사업·연금 등 모든 소득 합계이며 필요경비 및 공제 항목(인적공제, 연금보험료, 의료비, 신용카드 등)을 차감해 결정됩니다.

 

2025년 소득세 신고 시 확대된 공제 항목은?

2025년 연말정산 및 소득세 신고 시 크게 강화된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  • 근로소득 기본공제: 150만 원 → 180만 원
  • 자녀세액공제: 1명 25만, 2명 55만, 3명 이상 추가 공제
  • 결혼 세액공제: 2024~2026년 혼인신고자 1인당 50만 원
  • 영유아 의료비: 한도 폐지, 전액 공제 가능
  • 기타: 체육시설 공제, 월세 세액공제 상향, 주택청약저축 공제 확대 등

연금저축/IRP, 기부금, 의료비, 교육비, 월세 등도 변함없이 주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이니 놓치지 마세요!

신고 절차와 주의사항은 무엇인가?

  • 신고는 5월 중 홈택스에서 진행되며, 세금 환급(또는 추가 납부)은 6월 말~7월 초에 이뤄집니다 
  • 공제 서류로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, 부양가족 증명, 의료비·교육비·기부금 영수증, 주택자금 증빙 등 필요합니다 
  • 허위 기재는 처벌 대상이므로 정확하고 완전한 자료 제출이 중요합니다.

참고